목록직위 직급 직책 (1)
덕업일치의 꿈
공무원 Public Servant, Serviceman, Official 관료제에는 계급이 존재한다. 관료제 Breaucracy = Bureau(사무실) + Cracy(지배) 사무실 책상 물림이 곧 관료제다. 사기업에서는 직급과 직위보다 직책이 더 중요한 추세다. 관료제 그 자체, 나랏밥먹는 공무원에게 계급은 어떤 의미일까. 공무원의 계급은 국가공무원법 제4조(일반직공무원의 계급 구분 등), 지방공무원법 제4조 (일반직공무원의 계급구분 등)에 의해 규정된다. 9,8,7,6,5와 같은 숫자 위계를 계급, 서기보, 서기, 주사보, 주사, 사무관 등의 계급을 나타내는 호칭을 직급, 과장, 국장 등 직무 책임에 따른 보직을 직위라 한다. 계급은 크게 3단계로, 5급이상 6·7급 8·9급 이에 따라 신규임용은 9..
세상
2017. 7. 24. 16:49